728x90

명절 가족모임 함께하기 좋은 민속놀이 (한국형 레크레이션)

명절이나 가족행사로 오랜만에 가족들이 다 함께 모이면 반가운 마음에 서로 웃음꽃을 피우며 근황토크를 하게 되지만 그것도 잠시.. 특히 오랜만에 만난 반갑지만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조카나 친척동생과 보내야 하는 시간은 진땀나게 만들기도 하는데... 떨어져 있던 시간 만큼 어색해지는 우리 사이에 시간을 빠르게 잘 보낼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또한 세대를 아우르는 가족 모임이니 룰이 복잡한 게임보다는 한국인이라면 모두가 다 알고있는 대중적이고 재밌는 민속놀이 한국형 레크레이션 게임을 준비했다. GOGO

 

명절 가족모임 재밌는 민속놀이 한국형 레크레이션 게임 추천 

공기놀이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공기놀이)

미성년자 조카나 친척동생들을 데리고 오랫동안 놀기 좋은 게임 
규칙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조그맣고 동그란 돌을 가지고 던져 손으로 잡으며 노는 민속놀이
. 놀이방법은 지방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데,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섯개의 공깃돌을 손바닥에 쥐고 그 가운데 한알을 위로 던져올리는 동시에 나머지 네알은 얼른 땅바닥에 놓은 다음, 던져올린 돌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받는다. 그 돌을 다시 던져올리면서 땅바닥의 돌 한알씩과 내려오는 돌을 같이 잡기를 네번 한다. 돌을 잡을 때 옆의 돌을 건드리거나 내려오는 돌을 못 잡아서 실수하면 실격이 되어 차례가 다음 사람에게 넘어간다. 한알씩 잡기를 성공하면 두번째로는 두알씩 잡기를 두번 하고, 세번째로는 한번에 세알을 잡고 나머지 한알을 잡는다. 다음 네번째로는 땅바닥의 네알을 한꺼번에 쓸어잡고, 다섯번째로는 다섯알을 다 쥐어서 던져올렸다가 손등으로 받고 난 공깃돌들을 다시 올렸다가 떨어지는 것을 다 한꺼번에 채어잡는다. 그 다섯번째 채어잡기를 할 때, 손등에 얹혔던 돌이 셋이면 3년, 다섯이면 5년으로 계산하는데, 손등에 얹혔던 돌을 던져올려 채어잡을 때 하나라도 놓치면 실격이 된다. 그래서 작은 손등에 얹힌 돌들을 손등을 움직여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채어잡기 좋게 조절하고 모으느라고 안간힘을 쓰게 된다. 손등에 공깃돌이 하나도 얹히지 않아도 실격이 되어 역시 공깃돌을 다음 차례에 넘겨주고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이 순서들을 실수 없이 성공하면 계속해서 할 수 있을 때까지 되풀이해서 점수를 쌓아올라간다. 이 방법으로 할 때는 미리 몇 년 내기를 할 것인지 정해둔다.

 

윷놀이

출처: 네이버마켓 만세랑

남녀노소 모두 함께 즐길 수 있는 게임. 명절 친척들의 곤란한 질문(대학, 취업, 연봉, 결혼, 자녀계획) 입막음용 게임 
규칙 1) 보통 2명에 한팀 먹고 2팀으로 나뉘어서 게임. 팀당 말은 각각 4개 정도 주어지고 4개의 말이 결승선을 모두 통과해야 함 2) 2팀에 한명씩 각각 번갈아가면서 윷을 던진다 A-B-A-B 순서로 3) 진행방향은 반시계 방향 4) 모나 윷이 나왔을 경우 또는 상대방의 말을 잡은 경우 윷을 한번 더 던질 수 있다 5) 먼저 말판에 나간 말과 새로운 말이 같은 자리에 온 경우 업어서 갈 수 있다 단, 도중에 내릴 수 없음 

 

제기차기

활동적이고 발차기를 좋아하는 조카를 위해 넓지 않은 공간에서도 쉽게 할 수 있는 놀이 
제기를 차는 놀이. 제기는 동전을 헝겊으로 감싸고 실로 묶은 다음 늘어진 천 부분을 국수가락처럼 여러 갈래로 늘여 만드는 장난감이다.
종류 1)
셈제기는 보통 대중들이 생각하는 제기차기와 일치한다. 제기를 한 번 발로 차기 시작하면 제기를 땅에 떨어뜨리지 않고 얼마나 연속으로 많이 발로 차는가를 겨룬다. 당연하게도 제기를 많이 찬 사람이 승리한다. 2) 사방제기는 네 명의 사람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사각형 모양로 대형을 잡고 제기를 발로 주고받으며 차면 된다. 제기를 잘못 차서 다음 순서의 사람에게 전달하지 못한 사람이 패배한다. 3) 종로제기는 두 사람이 서로 마주 본 다음 제기를 서로 번갈아가며 차는 놀이이다. 과거에 종로상인들이 겨울에 추위를 잊고자 상가 길거리에서 유행했던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딱지치기

딱지접기부터 딱지치기까지 온몸을 사용할 수 있는 게임 
방법 딱지치기는 양면이 존재하는 평면의 물체 '딱지' 한 장을 땅바닥에 놓고 다른 딱지로 쳐서 뒤집으면 따먹을 수 있는, 한국의 전통놀이 또는 민속놀이 중 하나다. 옛날에 쓰던 달력이나 도화지 같은 적당히 두꺼운 종이를 사용해 접으면 된다. 너무 두꺼우면 두툼해져서 쉽게 넘어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오목두기(+알까기)

바둑두는 것이 어려울 경우 할 수 있는 쉽고 스릴있는 게임
오목두기 방법
바둑과 같이 흑백의 돌로 바둑판 선상에 세로 ·가로 ·대각선 어느 쪽으로나 먼저 5개를 나란히 놓는 사람이 이기는 바둑놀이
알까기 방법 바둑돌이나 장기말 등을 손가락으로 튕겨내서 상대편 말을 바둑판 밖으로 떨어뜨리는 보드 게임.

 

칠교놀이 

출처: 네이버마켓 티쳐빌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은근히 어려운 놀이. 치매예방에도 좋다 
방법 사방 10
cm 쯤 되는 나무판으로 만든 직각삼각형 큰 것 2개, 중간 것 1개, 작은 것 2개, 그리고 정사각형과 평행사변형 각 1개씩으로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드는 놀이

728x90

+ Recent posts